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B
- DOCKER-USER
- packet flow
- cbpf
- packet filter
- Compiler
- 어셈블리어
- rfc5508
- ioctl
- mvwin
- epoll_wait
- BOF
- doupdate
- wrefresh
- C언어
- architecture
- iptables
- edge trigger
- Docker
- NAPT
- .net core 7
- ncurses
- wnourefresh
- REDIS
- vtable
- .nret core 배포
- epoll
- 취약점
- 풀이
- level trigger
- Today
- Total
Tuuna Computer Science
전에는 재접속 안되는 1대1 채팅프로그램이였는데 이젠 놉 책의 예제를 좀 수정해서 방분리 개념이 잡힌 채팅프로그램을 만들어봤습니다. 1차원배열을 이용했었다면 2차원 배열로 여러개의 방개념을 잡고 관리했습니다. 아 전 쓰레드를 이용해서 환경을 조성했는데 나중엔 epoll이나 IOCP로 구성해보고싶네요 ㅋㅋ OS : linux 실행법 :: server program인 ./room_chat_server 해주세요 그리고 client program인 ./room_chat_clnt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원하는시는 채팅방에 참여하면 됩니다. 다음엔 전송 시간하고, 현원등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보고 싶네용 ㅋ.ㅋ (당구장표시) 코드를 마음대로 뜯어주세요
주로 배열을 이용해 만든 RPG게임입니다. 실행 방법은 이동키 wasd와 공격키 i,o가 존재합니다. 소스코드도 첨부해 드렸으니 원하는 사람은 수정해서 사용하세용
PE파일 포맷에 대해 다룰것이다. 필자가 공부한것을 정리하니 글이 이상할 수 있다. 일단 먼저 IMAGE_DOS_HEADER부터 보자. 여기서 볼건 Signature과 Offset to New EXE Header이다. signature은 윈도우의 PE스펙을 제작한 MZ를 나타내고 Offser to New EXE Header은 다음 헤더인 IMAGE_NT_HEADER가 파일크기상에서 어떤 위치에 자리잡는지 나타낸다. 이제부턴 IMAGE_NT_HEADER이다. IMAGE_NT_HEADER은 3개의 구조체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Signature이다 이는 PE를 나타낸다. ㄴ 두 번째 구조체는 IMAGE_FILE_HEADER구조체이다. 좀 더 살펴 보겠다. 여기서 눈 여겨볼게 몇개 존재한다. 먼저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