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epoll
- LOB
- Compiler
- wnourefresh
- 취약점
- NAPT
- REDIS
- rfc5508
- ncurses
- level trigger
- edge trigger
- packet filter
- .net core 7
- ioctl
- cbpf
- wrefresh
- epoll_wait
- .nret core 배포
- mvwin
- BOF
- packet flow
- Docker
- architecture
- DOCKER-USER
- 어셈블리어
- vtable
- iptables
- C언어
- doupdate
- 풀이
Archives
- Today
- Total
Tuuna Computer Science
[Reversing] JMP명령과 CALL명령의 상대주소 계산법 본문
JMP명령어와 CALL명령어에 사용되는 오퍼랜드가 절대주소가 아닌 상대주소로 쓰인을 알게되었음.
구하는 방식은
현재 위치하는 주소를 뛰어갈 주소에서 뺀다음 JMP의 명령어 바이트만큼(5byte) 뺀다.
상대주소 = 뛰어갈 위치의 주소 - 현재 위치하는 절대주소 - 5
지금까지 어셈블리단에서 작성하면 어셈블러가 자동으로 변환해주었나 보다 ㅎ
'Reve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ersing] PE Format IMAGE_IMPORT_DESCRIPTOR 분석 (0) | 2019.04.24 |
---|---|
내가 만든 첫 번째 리버싱 문제들 (0) | 2018.08.14 |
PE파일 포맷 구조 정리 (0) | 2018.06.21 |
PE 파일 재배치 (0) | 2018.06.12 |
[ UPack의 PE 헤더 분석 ] (0) | 2018.06.12 |
Comments